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향교와 서원, 서당23

[남원 풍계서원] 때늦은 배롱나무꽃이 반겨준 황희, 오상덕, 황위 세 분을 모신 서원 남원 대곡리 암각화와 무민공 황진 장군 부조묘와 정려각을 둘러본 뒤 찾아간 곳은 바로 남원 풍계서원이랍니다. 남원시 대강면 풍산리 마을에 있는 서원입니다. 마을에서도 조금은 높다란 언덕 위에 지은 서원이네요. 이 마을 이라고 하나 봅니다. 그리고 이쪽 산을 보니, 여러 해 앞서 산불이 났나 보네요. 산이 민둥산이 되었다가 이제 겨우 나무와 풀로 채워지는 것 같네요. 시골길 옆에 담벼락 그림이 그려진 집이 무척 정겹네요. 풍계서원 아래쪽에는 쉼터로 만든 정자가 있네요. 마을 어른들이 더위도 피하고 쉬는 곳으로 딱이네요. 그 아래로 논이 보이고 커다란 느티나무가 있는 마을 들머리도 풍경이 참 예쁘네요. 장수 황공 공적비가 서원 바로 앞에 있네요. 이 서원에는 황희 정승과 오상덕, 그리고 황위 선생을 배향한다.. 2021. 10. 16.
[황간향교와 가학루] 새로 단장한 황간 향교, 외삼문 내삼문에 드나들때 우리는 어디로 출입해야 할까요? 황간향교를 아주 멋지게 새단장을 했군요. 아, 제가 갔을 때가 5월 중순인데요. 그때에도 공사를 하고 있었답니다. 대성전은 아직도 보수를 다 마치지 못한 상태였답니다. 다녀온 지 한 5 개월쯤 되었는데 지금은 어떤지 잘 모르겠네요.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건 향교 옆에 너른 잔디밭 한가운데 커다란 공자상을 세웠네요. 네. 공자는 모든 향교에서 가장 주 배향 인물이지요. 우리나라 유교사상을 올곧게 배우려고 조선시대에 각 군현마다 세운 곳이 바로 향교이지요. 잘 아는 대로 향교는 나라에서 세운 국립학교이고 서원은 사립학교라고 볼 수 있지요. 공자어록 극기복례위인 (克己復禮爲仁) 박문약례 (博文約禮) 비례물시 비례물청 (非禮勿視 非禮勿聽) 비례물언 비례물동 (非禮勿言 非禮勿動) 사욕을 억제하고 예절로 돌아감이 .. 2021. 10. 5.
<김천 부항면 춘천서원> 봄내 마을에 오랜 세월 견뎌온 하마비도 있고 우암 송시열이 칭찬한 절경에 세심대도 있다!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과 그의 증손자인 운평(雲坪) 송능상(宋能相)을 제향 하는 춘천 서원입니다. 춘천 서원이 있는 마을은 김천시 부항면 파천 1리 봄내 마을이랍니다. 때마침 이 산골마을을 지나가는 버스가 보이네요. 부항로 1453-12 춘천서원의 주소입니다. 춘천서원을 만난 첫 느낌은 굉장히 초라했습니다. 우암 송시열이 강론하고 후학들을 양성한 곳이라는데 어찌 이리 초라할까?라는 생각이었습니다. 또 하나 놀랐던 건, 春川書堂(춘천서당)이라고 쓴 편액인데요. 엄청나게 크네요. 건물의 크기에 견줘서 굉장히 큰 편액입니다. 그리고 一直齋(일직재) 三要齋(삼요재), 四敎堂(사교당)이라고 쓴 편액들도 눈에 띕니다. 지금은 춘천서당이라는 편액이 걸려 있지만, 그 옛날에는 바로 여기가 춘천서원이었습니다. 17.. 2021. 9. 30.
[김천 구성면 문화재 6] 도동서원 가는 날이 장날? 지금은 해체 복원 공사중! 김천시 구성면 상좌원리 '도동'이란 마을을 설명한 안내판입니다. 원래는 '문도동'이었던 것이 도동으로 바뀌었나 봅니다. 이쪽 마을에도 연안 이 씨들의 집성촌이라고 하네요. 그리고 앞서 소개했던 모성정 이야기에서도 나왔는데 공자를 우러르며 학문을 닦으며 정자를 지었다고 했지요. 그래서인지 이쪽 둘레에는 마을 이름도 공자와 관련된 게 많답니다. 주공, 주례, 공자동, 창평, 백어, 명덕, 벽계, 저익촌 등 마을 이름이 신기하지요? 바로 이 도동(道洞)에 속해있다고 하네요. 조문도석사가의(朝聞道夕死可矣)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라고 하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마을이 바로 도동인 것입니다. 그래서 마을 가장 끝에 이 도동과 관련된 서원이 있어서 찾아갑니다. 바로 입니다. 서원 가는 길에 본 빈.. 2021. 9. 15.
<김천 구성면의 문화재 3> 경양서당(경양서원) 감호 여대로 선생을 기린다! 김천 구성면 광명리 마을은 성산 여씨 집성촌이기도 합니다. 이 마을에도 을 알게되어 여러 차례 가본 곳인데 정작 마을 안에 서당이 있다는 걸 몰랐답니다. 그래서 다시 찾아가서 확인을 해보려고 했지요. 경양서원은 송오 여응구, 감호 여대로 부자를 기리기 위해 세워진 서원입니다. 조선시대 숙종(1675~1720) 대에 처음 지어졌다고 합니다. 송오(松烏) 여응구(呂應龜)는 성균관 학론을 지냈고 감호(鑑湖) 여대로(呂大老)는 군수를 하고 임진왜란 때에 창의지사(倡義志士)였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임란 때 의병장이었습니다. 그것도 아들 삼형제와 함께 나라를 구하려고 자기 재산을 모두 내어 의병을 일으켰습니다. 이분 역시 영남학파의 거두였던 남명 조식 선생의 문하였습니다. 나라가 위급할 때마다 의병을 일으키고 나아.. 2021. 9. 9.
[김천 구성면 문화재 1 - 무송정] 최영 장군 영정을 모셨다! 김천시 구성면 광명리 마을입니다. 이 마을에 이란 곳이 있는데 이 마을이 철원 최씨의 집성촌이었다고 하네요. 무송정 옆으로는 제단이 따로 있는데 아마도 철원 최씨들의 선조들께 제를 올리는 제단인 듯합니다. 또 그 곁으로는 마치 상여집 같은 건물이네요. 예전에는 마을마다 상여집이 하나씩 있었지요. 무송정에 찾아간 때는 지난 5월 봄이었지요. 무송정 둘레에다가 시멘트 블록으로 담장을 쌓고 가운데는 문을 달았네요. 생각대로 문은 잠겨있습니다. 고려 말의 명장인 최영 장군의 영정을 여기 무송정에 모셨다고 하더군요. 지금도 있는 건지는 모르겠습니다. 해마다 3월에 조상들께 제사를 지낸다고는 하더군요. 무송정은 정면 3칸, 측면 2칸 건물이며 소나무와 싸리나무의 둥근 원형 기둥으로 이루어진 2층 누각이네요. 또 가.. 2021. 9. 2.
[괴산 연풍향교] 동재와 서재가 어느 쪽인지 아세요? 괴산 연풍향교입니다. 저 앞에 보이는 건물이 명륜당 뒷모습이고요. 양쪽 옆으로는 동재와 서재가 있습니다. 그런데 동재와 서재를 구경할 때 정확하게 어느 쪽에 있는 건물인지 구분하시나요? 오늘 한 번 살펴볼까요? 괴산 연풍향교 안내판입니다. 향교에서 가장 먼저 보이는 홍살문입니다. 향교의 수문장이기도 하지요. 서원이나 향교, 능이나 묘에도 홍살문이 있지요. 이렇게 홍살문이 세워져 있는 곳은 신성한 곳이니 몸과 마음가짐을 단정히 하고 들어가야 합니다. 왼쪽에는 충효당이 있습니다. 예절교육이나 충효교육을 하는 곳으로 쓰인답니다. 홍살문 지나 외삼문으로 들어서면 이렇게 너른 마당 뒤로 명륜당이 있습니다. 명륜당은 강학 공간으로 옛날 유생들이 공부를 하던 배움터입니다. 정면 3칸, 측면이 2칸짜리 팔작지붕 건물입.. 2021. 8. 26.
[옥천 양신정과 목담영당] 옥천 전씨 종중 옥천 양신정을 찾아왔는데, 가장 먼저 보이는 저 새집이 눈에 띄네요. 처음엔 저 건물이 그냥 일반 집인가 했습니다. 울타리 안에 어떤 빗돌이 있는데 정확하게 알아볼 수가 없어서 그냥 지나쳤네요. 아하, 그런데 앞쪽에 와서 보니 목담영당(鶩潭影堂)이라는 편액이 걸려있네요. 아니, 그럼 여기가 사당인가? 새집 바로 옆에 또 다른 건물이 보이네요. 알림판도 보이네요. 정문 편액은 통의문(通義門)이라 쓰여있습니다. '의로 나아가는 문'으로 보면 되겠지요? 다행히 문이 열려 있습니다. 이렇게 고마울 데가? 아하! 목담영당, 아까 보았던 편액과 같은 글자네요. 이제야 알겠네요. 이 건물이 바로 옛 목담영당이고, 먼저 보았던 건 새로 지었나 봅니다. 목담영당은 본디 이었다고 합니다. 대원군의 철폐령에 헐렸다가 사당 .. 2021. 8. 24.
[옥천 덕양서당] 호도 덕곡, 마을 이름도 덕실, 도덕리 참 살갑지 않나요? 옥천군 안남면 도덕리 마을에 있는 입니다. 충북 문화재자료 제24호입니다. 마을 이름이 도덕리네요. 이름만 들어도 굉장히 덕이 있고 푸근할 듯한 마을이네요. 덕양 서당에 찾아갔는데 역시 문이 잠겨있네요. 하지만 담장이 낮아서 안쪽을 구경하는 데는 크게 무리가 없었어요. 담장 너머로 찍은 덕양서당 안쪽 모습입니다. 왼쪽과 오른쪽을 번갈아 찍어서 모으니 이런 모습이네요. 마당 안이 꽤 널찍합니다. 도덕리 덕실 마을 풍경이 참 정겹네요. 옥수수가 한창 자라던 때였어요. 서당 앞으로 텃밭을 가꾸고 있네요. 담벼락을 돌아서 서당 안쪽을 들여다봅니다. 꽤 큰 건물이네요. 정면이 6칸, 측면이 2칸짜리 팔작지붕입니다. 예전에는 덕양 서당을 '덕양서원'이라고도 했어요. 조선 말기에는 서원 간판을 달고 있다가 대원군의 .. 2021. 8.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