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불상과 빗돌, 정려각25

장성 봉암서원 삼강정려엔 변윤중과 그의 부인, 며느리까지 정려를 받다! 장성읍 장안리 마을 봉암서원 들머리에 가 있습니다. 봉암서원을 보러 갔는데 가장 먼저 반겨주는 게 바로 이 정려각이었습니다. 삼강정려는 조선시대 임금이 충신, 효자, 열부한테 내려주는 정려를 말하는 거랍니다. 그들이 살던 마을 어귀에 세우는 정문이랍니다. 삼강오륜의 삼강에 해당하는 도리를 다 한 사람한테 좋은 본보기로 삼고 널리 알리려고 임금이 내리는 거랍니다. 임금께 충성한 신하인 충신, 부모님께 자식의 도리를 다한 효자 효녀, 남편한테 아내의 도리를 다한 열부한테 주는 표창장과 같은 것이지요. 봉암서원 삼강정려는 충신과 열녀, 그리고 효부, 이렇게 세 사람한테 내려준 정려와 빗돌이 있답니다. 충신인 변윤중 선생, 그의 부인 함평 성씨, 그의 며느리 장성 서씨입니다. 여기에 충신으로 모셔진 휴암(鵂巖).. 2021. 12. 6.
장성 선정비군(동산공원 선정비) 장성향교 가는 길에 어느 길목 모퉁이를 돌아가는데 남다른 게 눈에 띄네요. 그래서 멈춰서 구경을 했지요. 장성 성수 경로당 앞에 빗돌이 여러 개 보이더군요. 그래서 잠깐 멈추었는데, 알고 보니 금방 본 것보다 더 많은 빗돌이 있더군요. 우와~! 이게 뭐지? 차에서 내려 구경을 하는데 빗돌이 정말 많네요. 모두 굉장히 오래되어 보이는 빗돌입니다. 아마도 공덕비나 선정비 같아 보이네요. 빗돌마다 이렇게 어떤 빗돌인지 설명을 해놓은 안내판이 있는데 굉장히 오래되었나봐요. 글자가 희미해서 잘 알아볼 수가 없네요. 빗돌군이 있는 곳은 공원인 듯합니다. 마치 들머리에 당간지주처럼 서있고 그 기둥 사이로 계단이 보입니다. 저기까지는 안 올라갔는데 이 마을 사람들은 여기서 산책 삼아 운동하면 좋겠네요. 어머나~! 왼쪽.. 2021. 12. 2.
[논산 덕평리 석조여래입상] 고려시대 불상 발목 아래는 어떻게 생겼을까? 논산 볼거리 가운데 하나로 고려시대 불상을 찾아서 덕평리 마을로 갔어요. 을 보러 왔지요. 충남 유형문화재 제55호입니다. 이 불상은 서있는 불상이랍니다. 그래서 입상이지요. 소나무가 먼저 반겨주네요. 논산 덕평리 석조여래입상은 고려시대에 만든 것으로 추정한다고 합니다. 이 불상은 얼마 전까지 어떤 분의 집 안에 있었다고 하네요. 그보다 더 옛날에는 '운제사지'라고 하는 절터에 있었다고 하고요. 어딘가 모르게 조금은 자연스럽지가 못하지요? 그건 바로 불상이 발목이 없는 채로 서있어서 그렇답니다. 팔각으로 된 기둥이 불상 앞에 있네요. 그리고 배례석이라고 하는 돌판이 불상 앞에 3개나 있습니다. 아마도 제사를 지낼 때 제수음식을 올려놓던 곳인 것 같아요. 옷 주름은 굉장히 잘 살아있네요. 지금 봐서는 처음.. 2021. 10. 28.
<남원 대곡리 암각화> 성혈도 있다는데... 좀 더 자세한 안내판이 필요하다! 남원시 대산면 대곡리 마을엔 가 있습니다. 대곡리 암각화는 청동기 시대에 바위에 새긴 그림을 말하는 거랍니다. 대곡리 암각화는 이렇게 큰 소나무가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곳에 있답니다. 우리가 갔을 때, 대곡리 암각화 아래에 있는 빗돌을 옮기고 있는 중이었다고 하네요. 처음엔 그걸 몰라서 누군가 빗돌을 파헤쳤는 줄 알고 많이 놀랐답니다. 대곡리 암각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63호) 봉황대로 불리는 구릉의 정상 부근 암벽에 새긴 이 조각 작품은 호남지방에서 드물게 보이는 선사시대의 암각화이다. 암각화는 두 곳에 위치하고 있는데, 크기는 1~2m 내외이며, 상하 혹은 좌우 대칭으로 기하학적인 문양을 새겼다. 마모가 심하여 자세하지는 않지만, 사람이나 짐승의 얼굴을 묘사한 듯하다. 이 암각화는 1991 년 .. 2021. 10. 15.
[남원 무민공 황진 기념관과 정려각, 그리고 무민공 황진 부조묘] 남원 여행 중에 를 찾아갔다가 우연히 알게 된 곳이랍니다. 대곡리 암각화가 있는 남원 대산면 대곡리 마을 앞에 정려각이 하나 있어서 알게 되었네요. 앞에 보니까 이 정려각을 알리는 안내판이 있네요. 아주 자세하게 나와있어 조금은 이해하기가 쉽군요. 그런데 이건 기념비라고 하네요. 그럼 무민공 황진이 어떤 분인지 알아야겠군요. 무민공 황진(1550~1593) 장군입니다. 임진왜란 때 안덕원 이현 등의 대첩으로 호남 방어에 공을 세운 분이라고 합니다. 충청 병마절도사로 진주성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고 1593년 6월 28일에 장렬하게 순국한 구국의 명장이다! 그런데 이 정려각은 새로 옮겨서 세운 것이라고 합니다. 원래는 장군이 태어난 곳이고 묘소가 있는 남원시 주생면 반송리 큰 길가에 세워져 있었다네요. 그걸.. 2021. 10. 10.
[김천 신리 영천 이씨 정려각과 절의천(우물)] 자기 가슴을 은장도로 도려낸 열녀 이야기 얼마 앞서 영천 이 씨들의 선조들을 모시는 군위에 있는 를 소개한 적이 있지요. 오늘은 여인 영천 이씨 부인을 소개할까 합니다. 김천시 봉산면 신리 526번지 김천 신리 영천 이씨 정려각이랍니다. 바로 여깁니다. 마을 골목길을 따라 조금만 들어오면 정려각이 있습니다. 숙부인 영천 이씨 정렬부사액비라고 쓴 빗돌이 있습니다. 통정대부를 지낸 영일 정씨 정유한(鄭維翰) 선생의 부인인 영천 이씨 부인의 절개를 기리는 정려각입니다. 정려각 안에는 들어가서 볼 수는 없고 이렇게 담장 너머로만 봅니다. 빨갛게 단청을 칠한 보호각 안에 빗돌이 보입니다. 그리고 보호각 이마에는 1634년 인조 임금이 내려준 정려가 걸려있네요. 정유한의 부인인 영천 이씨 부인은 정유재란 때 시부모를 모시고 마을 뒤에 있는 난함산으로 피신.. 2021. 9. 28.
[영동 신항리 석조여래삼존입상] 마을 들머리를 지키는 수호신 같구나! 충북 영동군 용산면 서신항길 135-8 영동 용산면 신항리에 마을 들머리에 세워진 마을 유래비입니다. 예부터 이 마을을 감싸고 있는 뒷산의 모양이 노루목처럼 생겼다고 해서 부자가 되는 터라고 했답니다. 노루 장(獐) 자를 써서 '장항'마을 또는 '노루목'이라고 했답니다. 그래서 마을 들머리에도 이렇게 신항 1리 노루목 마을이라고 쓴 돌판을 세웠네요. 신항리 마을에는 도라지, 감, 복숭아가 특산물이라고 합니다. 돌로 단을 두 단을 쌓고 그 위에 보호각 안에 있는 석조여래입상을 보러 왔어요. 바로 영동 신항리 석조여래 삼존 입상입니다. 보물 제984호입니다. 아, 그런데 삼존 입상이라고요? 그렇다면 세 분이 새겨져 있다는 말이지요. 아하, 그렇군요. 석불 입상 옆으로 빈집이 하나 있고 그 앞에 굵은 가지를 .. 2021. 9. 25.
[김천 감천면 볼거리] 전설의 고향이냐고요? 문랑, 효랑 이효각에서 조선시대 묘지소송을 본다! 배롱나무 꽃이 활짝 피던 8월 중순에 문랑이 효랑이 자매의 억울한 넋이 깃든 에 다녀왔지요. 김천시 감천면 도평리 마을에 있는 인데요. 경상북도 김천시 감천면 도평리 263-1 언니와 동생, 그러니까 자매의 넋을 기리는 정려각이랍니다. 이 자매의 이름은 언니가 문랑이, 동생이 효랑이랍니다. 무슨 전설 이야기를 하려고 하는 것 같지요? 그렇지 않고요. 실제로 조선시대에 있었던 실존 인물을 기리는 비각이랍니다. 이 비각의 정식 이름은 입니다. 만고 효녀 죽산 박씨 증시 문랑 효랑 지비 (萬古孝女 竹山朴氏 贈諡 文娘 孝娘 之碑)라고 쓴 빗돌입니다. 문랑과 효랑 자매는 당시 성주에 살던 죽산 박씨인 박수하의 딸로 1709년(숙종35)에 현풍의 권력가인 청하 현감 박경여한테 자기 가문의 선산을 빼앗깁니다. 부자인.. 2021. 9. 24.
[김천 경주 정씨 세장지] 김천 감문면 남곡리 앞숲 김천시 감문면 남곡리 마을에는 예부터 경주 정 씨들이 집성촌을 이루고 살았다고 합니다. 오늘 찾아가는 곳은 바로 남곡리 마을 앞숲에 있는 를 보러 갑니다. 남곡 또는 남실이라고도 하는 마을인데요. 경주 정씨가 이 마을에 터를 잡았음을 뜻하며 세운 비가 바로 랍니다. 남곡 마을입니다. 70호 정도가 있다고 하네요. 푸른 논 뒤로는 무덤들이 많이 보입니다. 남곡(남실) 마을을 조금 더 당겨서 볼까요? 저 안에 교회도 보이네요. 마을 앞에 있는 남곡리 앞숲입니다. 마을 쪽에서 바라보는 앞숲입니다. 남곡리 앞숲 - 경주정씨 입향조인 정금오가 처음에 집을 짓고 살면서 정원에 많은 나무를 심었었는데 지금도 그 터에 고목들이 남아 숲을 이루고 있다 해서 앞숲이라고 한답니다. 조상들의 무덤을 아주 깔끔하게 관리하고 있.. 2021. 8.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