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85 영동 금정리 마을 정려각 셋 - 민경호 정문, 하동정씨 정문, 하동정씨 열녀비각(영동 관어대) 여흥 민 씨 집성촌 영동군 심천면 금정리 마을 영동군 심천면 금정리 마을은 여흥 민 씨 집성촌입니다. 여흥 민 씨는 한 본이라고 하네요. 마을 앞에는 금정리 유래비와 마을 자랑비가 있답니다. 여흥 민 씨 재실인 숭모재도 있습니다. 바로 이곳에 영동 관어대도 있지요. 관어대는 민욱과 민성 형제가 자주 머물며 쉬던 곳이랍니다. 이 관어대에서 아래에 흐르는 금강을 내려다보면, 물고기가 노니는 모습까지 훤히 다 보인다고 합니다. 그러나 요즘은 물이 많이 흐려져서 예전의 그 모습은 보기 힘드나 그래도 내려다보는 풍경은 아주 멋스럽습니다. 금정리 마을 정려각 셋 첫 정려각은 입니다. '정문'이 무슨 뜻인지부터 좀 알아야겠네요. 더욱 자세하게 이야기 하면, '절효정문(節孝旌門)'이라고 말하는 게 더 맞을 듯하네요. .. 2021. 8. 3. 영동 송담재- 율재 정경 선생을 모신 사당 영동 송담재는 조선시대 중종 때 문신이었던 율재 정경 선생을 모시는 사당입니다. 충북 문화재자료 제25호입니다. 율재 선생은 기묘사화로 화를 입은 선비 가운데 한 분이라고 합니다. 효성이 지극하고 청렴한 분이기도 하셨답니다. 영동 송담재는 후손들이 세운 사당인데, 임진왜란 때에 불에 타서 그 뒤에 다시 여러 차례 고쳐지었다고 합니다. 상주목사와 이조좌랑 벼슬을 했던 분이고요. 율재 선생의 청렴함이 널리 알려져 명나라 조정에서 금대(금으로 만든 허리띠)와 수영(옥으로 만든 갓끈)을 하사 받기도 했답니다. 송담재 중수기와 여러 편액들. 지금 보는 초가집은 원래 모습이었지만 이건 최근에 복원을 해서 그렇다고 합니다. 그 이전에는 슬레이트 지붕이었다고 합니다. 처마와 앞에 있는 낮은 담장의 곡선들이 예쁘지 않나.. 2021. 8. 2. [나주 만호정] 여인들은 이 정자에 앉지도 못했지! 봉황면 철천리 마을에 깃든 이야기도 많구나! 나주에는 정말 정자가 무척 많네요. 나주에 있는 정자 중에 둘러본 곳이 영모정, 쌍계정, 벽류정을 둘러봤지요. 그런데 하나 같이 모두 아주 멋지고 아름답더군요. 이번에 소개하는 나주 만호정도 매우 멋스럽더군요. 이 정자도 고려시대 전기 때에 세운 정자라고 합니다. 만호정은 전남 기념물 제145호입니다. 만호정은 오랜 세월을 지나오면서 많은 이름을 가졌더군요. 처음에는 ‘무송정’이라 하였으며, 그 뒤 ‘쾌심정’으로 고쳤으나, 지금 있는 자리로 옮기면서 ‘영평정’이라 불렀고 선조 34년(1601)에 다시 고쳐 지으면서 ‘만호정’이라 부르게 되었다. 『정사기(亭史記)』와 『철야대동계안(鐵冶大同契案)』에 기록된 내용에 따르면 이곳에서 향약(鄕約)과 동규(洞規)가 시행되었다고 한다. (위키백과) 무송정, 쾌심정,.. 2021. 8. 1. [김천 자동서원] 유림 500 명이 뜻을 모아 세운 서원이랍니다. 김천시 조마면의 문화재를 찾아서 간 곳은 [자동서원]입니다. 앞선 글에서 조마면 신원리에 있는 고려시대 전기에 만들어진 [신원리석불입상]도 소개했습니다. https://redsky77.tistory.com/10 김천 신안리석불입상 - 우연히 알림판 보고 갔는데 고려전기때 불상이라고? 김천시 조마면과 구성면에 있는 문화재 몇 곳을 둘러보러 갔다가 우연히 이정표를 보고 갔습니다. 903번 국도에 서 있는 알림판에 라고 쓴 거였지요. 1km면 그다지 멀지 않으 redsky77.tistory.com 이번에는 조마면 강곡리에 있는 자동서원입니다. 경북 김천시 조마면 강곡4길 132 자양산의 동쪽에 있는 서원이라고 해서 이라 했다고 합니다. 자동 서원은 생각보다 굉장히 깔끔하게 잘 정비가 된 모습입니다. 요즘 김천.. 2021. 7. 29. 김천 신안리석불입상 - 우연히 알림판 보고 갔는데 고려전기때 불상이라고? 김천시 조마면과 구성면에 있는 문화재 몇 곳을 둘러보러 갔다가 우연히 이정표를 보고 갔습니다. 903번 국도에 서 있는 알림판에 라고 쓴 거였지요. 1km면 그다지 멀지 않으니 한 번 가보자 싶었어요. 김천시 조마면 신안리 마을을 예부터 탑골이라고 했다고 합니다. 탑골이라면 탑이 있었다는 말인데, 실제로 지금 남아있는 탑은 없는 것 같고요. 석불이 남아 있네요. 경북 문화재자료 제191호 경북 김천시 조마면 신안리 611입니다. 그런데 안내판을 보니, 이 불상이 통일신라 말이나 고려시대 전기에 만들어진 불상이라고 한답니다. 오오 꽤 오래 된 불상이네요. 전면입니다. 옛날에는 이 불상이 땅에 묻혀있었다고 합니다. 그걸 마을 사람이 농사짓다가 발견했다고 하네요. 전면에서 보니, 서있는 불상입니다. 아, 그러.. 2021. 7. 29. [영동 난계생가 박연 선생] 세종대왕을 도와 궁중음악 기틀을 마련하고 편경을 만든 박연 선생 영동은 난계 박연 선생이 나신 곳이고 또 81세의 일기로 돌아가실 때에도 살던 집이 있답니다. 바로 입니다. 영동군 심천면 고당리 308입니다. 고당리 마을 난계 생가 앞은 굉장히 널찍한 마당이 있어요. 많은 이들이 찾아와도 주차장에 차를 너끈히 댈 수 있겠네요. 그런데 많은 차를 댈 수 있어도 찾는 사람이 많지 않으면 꽤 쓸쓸하겠네요. 마을 분들이 농기구를 대놓아도 너끈합니다. 생가 앞에는 커다란 정자도 있네요. 저기 앉아서 쉬면서 시원한 수박 한 조각 먹으면 좋겠네요. 수박은 못 먹어도 옥수수는 맘껏 먹을......................................... 수는 없었고요. 구경은 실컷 했네요. 그럼 난계 박연 선생이 어떤 분인지 알아볼까요? 우리가 잘 아는 대로 우리나라의 3대 .. 2021. 7. 28. [나주 벽류정] 나주 제일 정자, 대나무숲길도 좋다! 나주에도 아름다운 정자가 굉장히 많이 있네요. 그중에도 가장 으뜸이라는 을 소개합니다. 벽류정은 김운해가 건립한 정자로 인조 18년(1640)에 세웠다. 원래는 조주(趙注)가 지은 별장이 있던 자리였으나, 광산 김 씨의 소유가 되어 그 터에 건물을 지었다. 여러 차례의 보수공사를 거쳐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금성산을 뒤로하고 펼쳐진 평야 속에 자리한 3개의 언덕 중에서 가장 큰 언덕의 숲 속에 자리하고 있다.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의 지붕이 여덟 팔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다. 내부에는 글씨를 잘 썼던 민규호, 신헌 등이 쓴 편액을 비롯하여 11개의 현판을 보존하고 있다. 벽류정은 전체적으로 균형이 잡힌 아름다운 정자이다. (위키백과) 벽류정 앞으로는 금천이 흐르고 있습니다. 나주시 세지면 벽산리에 .. 2021. 7. 27. [김천 섬계서원] 백촌 김문기 선생을 기리는 서원을 품은 조룡리 은행나무 백촌 김문기 선생은? 김천 섬계서원 김천시 대덕면 조룡리에 있는 섬계서원은 백촌 김문기 선생을 추모하려고 세운 서원입니다. 충의공 백촌 김문기 선생은 사육신과 함께 단종 복위를 모의하고 관련되었다가 모진 고문 끝에 처형을 당했다고 하네요. 그 공을 인정해 뒤늦게 사육신이 되신 분이랍니다. 이렇게 되면, 사육신이 아니라 사칠신이라고 해야 되는 거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백촌 김선생 유허비 이 분이 김녕 김 씨 충의공파의 시조가 되는 분이고 이 섬계서원에 선생의 아들 여병재 현석 공과 함께 배향하고 있답니다. 그밖에 동별묘에는 반곡(盤谷) 장지도(張志道)·절효(節孝) 윤은보(尹殷保)·남계(南溪) 서즐(徐騭), 이렇게 세 분의 위패를 모셨다고 합니다. 섬계서원 뒷모습 섬계서원이 있는 조룡리의 옛 마을 이름이 '.. 2021. 7. 23. <군위 양암정> 위천 절벽 위에 세운 정자의 주인, 서담 홍위 선생을 아세요? 군위 양암정은 조선 중기 서담 홍위 선생이 고향인 군위에 내려와서 지은 정자입니다. 학우들과 함께 자연을 즐기면서 학문을 닦기 위해 지었지요. 광해군 4년(1612)에 처음 세웠고, 그 뒤로 고종 5년(1868)에 없어지자 다시 20년 뒤인 1888년에 옛 터에다가 지은 정자랍니다. 위천이 흐르는 절벽 위에다가 세웠는데, 정자로 들어가기에 앞서 오른쪽 아래를 보면, 바위에다가 라고 새겼네요. 방 한 칸 짜리 정자이고요. 빙 둘러서 툇마루를 놓았네요. 정자 앞에는 위천이 흐릅니다. 나무에 가려져서 잘 안 보이지만 그 사이로 보이지요? 정자에 올라서 보면, 내의 2리 마을로 가는 길이 보입니다. 군위 양암정, 경치가 참 좋은 곳에 자리 잡았다는 생각이 드네요. 저 앞에 보이는 다리가 바로 내의교입니다. 저 .. 2021. 7. 23. 이전 1 ··· 6 7 8 9 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