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5

<청송 송학서원> 퇴계 이황이 마음의 고향으로 여겼던 청송에 세운 서원 청송군 안덕면 장전리 마을에 있는 입니다. 굉장히 너른 터에다가 세운 서원이네요. 송학서원이라더니 서원 앞에 키큰 소나무들이 꽤 많이 있네요. 서원은 담장에 둘러싸여 있습니다. 송학서원 외삼문은 따로 있습니다. 그러나 문이 닫혀 있고요. 이 관리사가 있는 뒤로 보이는 담장 쪽으로 드나들 수 있게 했네요. 담장과 담장 사이에 통로를 만들어서 여기로 드나들 수 있습니다. 송학서원 강당입니다. 정면이 4칸, 옆면이 2칸짜리 팔작지붕 건물입니다. 퇴계 선생이 단양군수로 재임하면서 청송을 돌아보며 ‘청송백학수무분 벽수단산진유연’(청송의 백학은 비록 연분이 없어도 벽수의 단산에는 인연이 있나 보네)이라고 읊은 싯구 중 ‘송’과 ‘학’ 자를 따서 송학서원이라고 이름 지었다고 합니다. 강당과 마주 보고 있는 저기가 바.. 2021. 11. 10.
[청송의 누정] 침류정과 오월헌, 동와정 그리고 침류정 향나무 경북 청송군 현서면 월정리 마을에 있는 침류정을 찾아갑니다. 청송 하면 사과가 이름나 있지요. 빨간 사과가 한창 익어갈 무렵인 지난 10월 9일에 다녀왔네요. 침류정 앞으로 흐르는 길안천입니다. 길안천 옆 야트막한 언덕에 있는 침류정입니다. 저기 앞에 보이네요. 키가 큰 나무들이 많네요. 대추 농사도 많이 하나 봅니다. 빨간 대추가 무척이나 탐스럽네요. ^^ 이 언덕 위에 있는 건물이 바로 침류정입니다. 침류정을 아래에서 올려다보니 굉장히 멋스럽네요. 옆에서 보면 이런 모습입니다. 야트막한 언덕에다가 누각을 세웠는데 멋들어지네요. 크기도 꽤나 큽니다. 은 ‘흐르는 물을 베개 삼고 돌로 양치질을 한다’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침류정에는 건물이 세 개나 있답니다. 침류정 바로 옆에는 오월헌(梧月軒)이 있는데 .. 2021. 11. 6.
[논산 덕평리 석조여래입상] 고려시대 불상 발목 아래는 어떻게 생겼을까? 논산 볼거리 가운데 하나로 고려시대 불상을 찾아서 덕평리 마을로 갔어요. 을 보러 왔지요. 충남 유형문화재 제55호입니다. 이 불상은 서있는 불상이랍니다. 그래서 입상이지요. 소나무가 먼저 반겨주네요. 논산 덕평리 석조여래입상은 고려시대에 만든 것으로 추정한다고 합니다. 이 불상은 얼마 전까지 어떤 분의 집 안에 있었다고 하네요. 그보다 더 옛날에는 '운제사지'라고 하는 절터에 있었다고 하고요. 어딘가 모르게 조금은 자연스럽지가 못하지요? 그건 바로 불상이 발목이 없는 채로 서있어서 그렇답니다. 팔각으로 된 기둥이 불상 앞에 있네요. 그리고 배례석이라고 하는 돌판이 불상 앞에 3개나 있습니다. 아마도 제사를 지낼 때 제수음식을 올려놓던 곳인 것 같아요. 옷 주름은 굉장히 잘 살아있네요. 지금 봐서는 처음.. 2021. 10. 28.
<논산 연산향교> 배롱나무꽃 명소라는데 꽃지고 가도 운치 있네요! 앞선 글에서도 논산 연산이 예부터 연산현이었다고 했지요. 연산에도 향교가 있습니다. 배롱나무꽃 명소로도 알려진 곳이더군요. 가서 보고 알았습니다. ^^ 논산 연산향교는 지난 9월 초에 다녀온 곳이지요. 배롱나무꽃은 거의 질때쯤 된 때였답니다. 연산향교 홍살문입니다. 그 너머로 향교가 보이네요. 연산향교는 마을 가장 끝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충남 논산시 연산면 관동1길 88-12 연산향교 바로 앞에 서니, 이렇게 배수구가 가장 먼저 보입니다. 향교 안에 있던 물이 빠져나올 수 있도록 배수구를 잘 만들었네요. 1398년 태조7년에 현감 박곤이 세운 향교랍니다. 논산의 대학자 김장생 선생과 그 아들 김집 선생이 있지요. 이 두 선생께서 바로 여기 연산향교에서 학문을 연구하고 제자들을 가르친 곳이라고 하니 더.. 2021. 10. 26.
<논산 연산 가볼만한 곳> 연산공원, 그런데 안내판을 좀 세워주면 안 될까? 이번에는 연산아문 가까이에 있는 을 소개할까 합니다. 먼저 공원을 둘러보면서 참 좋은 곳이구나! 하는 생각을 했답니다. 공원이 꽤 큰 데다가 오르락 내리락 둘러보면서 산책하기에도 꽤 좋은 곳이라서 참 좋았답니다. 날마다 걷기 운동하기에도 참 좋은 곳이라 이 둘레 사는 분들이 부럽기도 하였답니다. ♣ 매우 남다른 연산공원 표지석 연산 공원에 들어설 때 가장 먼저 반기는 건 바로 공원 표지석입니다. 이라고 쓴 표지석이 가장 먼저 눈에 띕니다. 딱 봐도 좀 남다르지요? 왼쪽은 앞면이고 오른쪽은 뒷면입니다. 표지석 아래에 있는 귀부(龜趺)를 보면, 정말 오래된 세월이 느껴지지요? 거북이 모양입니다. 등을 보면 그 문양이 더 또렷하네요. 아마 모르긴 몰라도 그 옛날 연산 관아에 있던 귀부는 아닐까? 싶은 생각이 .. 2021. 10. 21.
[논산 가볼만한 곳] 논산 연산아문 문루가 참 아름답다! 논산 연산에는 볼거리가 참 많더군요. 연산아문, 연산공원, 연산향교 등 역사와 문화를 함께 느낄 수 있는 곳이었답니다. 몇 꼭지에 걸쳐 소개해볼게요. 오늘은 을 소개합니다. 연산아문은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9호입니다. 충남 논산시 연산면 연산리 229-2 연산아문에 찾아가면 가장 먼저 보이는 게 바로 이 비석군들입니다. 바로 연산현에 파견되어 온 고을 수령들의 공적비가 줄지어 있습니다. 빗돌이 꽤 많더군요. 어떤 건 비문을 풀이한 글을 뒷면에다가 써놓은 것도 있었어요. 충민공김 휘홍익 선생지비 선생의 선정과 충절을 기념하는 빗돌이네요. 이번에 연산 나들이를 하면서 처음 알게 되었는데, 연산이 대추의 고장이더군요. 이게 바로 연산아문입니다. 아문이란, 조선시대 관아를 출입하던 문루를 말하는 거랍니다. 그러.. 2021. 10. 21.
[남원 풍계서원] 때늦은 배롱나무꽃이 반겨준 황희, 오상덕, 황위 세 분을 모신 서원 남원 대곡리 암각화와 무민공 황진 장군 부조묘와 정려각을 둘러본 뒤 찾아간 곳은 바로 남원 풍계서원이랍니다. 남원시 대강면 풍산리 마을에 있는 서원입니다. 마을에서도 조금은 높다란 언덕 위에 지은 서원이네요. 이 마을 이라고 하나 봅니다. 그리고 이쪽 산을 보니, 여러 해 앞서 산불이 났나 보네요. 산이 민둥산이 되었다가 이제 겨우 나무와 풀로 채워지는 것 같네요. 시골길 옆에 담벼락 그림이 그려진 집이 무척 정겹네요. 풍계서원 아래쪽에는 쉼터로 만든 정자가 있네요. 마을 어른들이 더위도 피하고 쉬는 곳으로 딱이네요. 그 아래로 논이 보이고 커다란 느티나무가 있는 마을 들머리도 풍경이 참 예쁘네요. 장수 황공 공적비가 서원 바로 앞에 있네요. 이 서원에는 황희 정승과 오상덕, 그리고 황위 선생을 배향한다.. 2021. 10. 16.
<남원 대곡리 암각화> 성혈도 있다는데... 좀 더 자세한 안내판이 필요하다! 남원시 대산면 대곡리 마을엔 가 있습니다. 대곡리 암각화는 청동기 시대에 바위에 새긴 그림을 말하는 거랍니다. 대곡리 암각화는 이렇게 큰 소나무가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곳에 있답니다. 우리가 갔을 때, 대곡리 암각화 아래에 있는 빗돌을 옮기고 있는 중이었다고 하네요. 처음엔 그걸 몰라서 누군가 빗돌을 파헤쳤는 줄 알고 많이 놀랐답니다. 대곡리 암각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63호) 봉황대로 불리는 구릉의 정상 부근 암벽에 새긴 이 조각 작품은 호남지방에서 드물게 보이는 선사시대의 암각화이다. 암각화는 두 곳에 위치하고 있는데, 크기는 1~2m 내외이며, 상하 혹은 좌우 대칭으로 기하학적인 문양을 새겼다. 마모가 심하여 자세하지는 않지만, 사람이나 짐승의 얼굴을 묘사한 듯하다. 이 암각화는 1991 년 .. 2021. 10. 15.
[남원 무민공 황진 기념관과 정려각, 그리고 무민공 황진 부조묘] 남원 여행 중에 를 찾아갔다가 우연히 알게 된 곳이랍니다. 대곡리 암각화가 있는 남원 대산면 대곡리 마을 앞에 정려각이 하나 있어서 알게 되었네요. 앞에 보니까 이 정려각을 알리는 안내판이 있네요. 아주 자세하게 나와있어 조금은 이해하기가 쉽군요. 그런데 이건 기념비라고 하네요. 그럼 무민공 황진이 어떤 분인지 알아야겠군요. 무민공 황진(1550~1593) 장군입니다. 임진왜란 때 안덕원 이현 등의 대첩으로 호남 방어에 공을 세운 분이라고 합니다. 충청 병마절도사로 진주성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고 1593년 6월 28일에 장렬하게 순국한 구국의 명장이다! 그런데 이 정려각은 새로 옮겨서 세운 것이라고 합니다. 원래는 장군이 태어난 곳이고 묘소가 있는 남원시 주생면 반송리 큰 길가에 세워져 있었다네요. 그걸.. 2021. 10.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