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5

<소몽 채기중 선생 생가> 대한 광복단을 만든 독립운동가 경북 상주시 이안면 소암리 290-1 소몽 채기중 선생을 아시나요? 한말의 독립운동가입니다. 독립운동가들의 비밀결사조직인 을 만들고 김좌진 등 여러 동지들과 함께 독립운동을 한 분이랍니다. 선생이 태어난 곳이 바로 경북 상주시 이안면 소암리 마을입니다. 선생의 생가가 이렇게 잘 복원이 되어 있습니다. 경북선 기찻길 앞에 있는 집이더군요. 순국 항일의사 소몽 채기중 선생 생가 안내판 지난 2005 년에 복원을 했다고 하네요. 소몽 채기중 선생(1873년 7월 7일~1921년 7월 9일) 1913년에 풍기에서 대한광복회를 조직하고 광복운동에 앞장선 분입니다. 대한광복회는 경술국치 이후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결성된 무력 독립운동 단체였다고 하네요. 풍기 동부리 운전마을 251번지에서 이 단체를 만들고 친일 반.. 2021. 10. 9.
[황간향교와 가학루] 새로 단장한 황간 향교, 외삼문 내삼문에 드나들때 우리는 어디로 출입해야 할까요? 황간향교를 아주 멋지게 새단장을 했군요. 아, 제가 갔을 때가 5월 중순인데요. 그때에도 공사를 하고 있었답니다. 대성전은 아직도 보수를 다 마치지 못한 상태였답니다. 다녀온 지 한 5 개월쯤 되었는데 지금은 어떤지 잘 모르겠네요.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건 향교 옆에 너른 잔디밭 한가운데 커다란 공자상을 세웠네요. 네. 공자는 모든 향교에서 가장 주 배향 인물이지요. 우리나라 유교사상을 올곧게 배우려고 조선시대에 각 군현마다 세운 곳이 바로 향교이지요. 잘 아는 대로 향교는 나라에서 세운 국립학교이고 서원은 사립학교라고 볼 수 있지요. 공자어록 극기복례위인 (克己復禮爲仁) 박문약례 (博文約禮) 비례물시 비례물청 (非禮勿視 非禮勿聽) 비례물언 비례물동 (非禮勿言 非禮勿動) 사욕을 억제하고 예절로 돌아감이 .. 2021. 10. 5.
[영동 신항리 상여] 왕가의 상여라고요? 충북 영동군 용산면 신항리 503-1 영동 신항리 상여입니다. 이용강 대감의 장례 때 쓴 상여인데요. 이용강은 조선 고종때 경상감사와 공조판서를 지낸 분으로 영동 황간으로 낙향하여 노년을 보냈다고 합니다. 조선 순종 3년(1909년)에 제작된 상여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 안내판에 나와있는 것과 달리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에서는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왕가의 상여로 고종의 6촌 형인 이용강 대감이 충정북도 영동군 황간면 금계리로 유배 온 뒤 1870년에 세상을 떠나자, 고종이 그를 애도해 하사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실제는 세종의 열셋째 아들인 밀성군(密城君)의 15세손 이용직(李容直, 1824∼1909)의 것으로 밝혀졌다. 한 동안 주민들이 고종의 6촌 형인 이용강 대감의 것이라고 주장하게 된 것은 .. 2021. 10. 1.
<김천 부항면 춘천서원> 봄내 마을에 오랜 세월 견뎌온 하마비도 있고 우암 송시열이 칭찬한 절경에 세심대도 있다!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과 그의 증손자인 운평(雲坪) 송능상(宋能相)을 제향 하는 춘천 서원입니다. 춘천 서원이 있는 마을은 김천시 부항면 파천 1리 봄내 마을이랍니다. 때마침 이 산골마을을 지나가는 버스가 보이네요. 부항로 1453-12 춘천서원의 주소입니다. 춘천서원을 만난 첫 느낌은 굉장히 초라했습니다. 우암 송시열이 강론하고 후학들을 양성한 곳이라는데 어찌 이리 초라할까?라는 생각이었습니다. 또 하나 놀랐던 건, 春川書堂(춘천서당)이라고 쓴 편액인데요. 엄청나게 크네요. 건물의 크기에 견줘서 굉장히 큰 편액입니다. 그리고 一直齋(일직재) 三要齋(삼요재), 四敎堂(사교당)이라고 쓴 편액들도 눈에 띕니다. 지금은 춘천서당이라는 편액이 걸려 있지만, 그 옛날에는 바로 여기가 춘천서원이었습니다. 17.. 2021. 9. 30.
<김천 나화랑 생가> 형제 음악가의 생가, 2020년에 문화재 지정이 되었는데 이렇게 허물어진 채로 둬도 될까? 경북 김천시 봉산면 봉계길 214-15(인의리 722) 김천시 봉산면에는 또 다른 볼거리가 있습니다. 바로 인데요. 대중가요 작곡가 선생의 생가입니다. 작곡가 나화랑(1921~1983) 선생은 우리 대중가요 500여 편을 작곡하고 많은 음반을 남겨 광복 후에 우리나라 대중가요를 이끌어왔던 분이랍니다. 우리가 잘 아는 , , , , 등을 작곡한 분이랍니다. 선생의 본명은 '조광환'입니다. 창녕 조 씨인가 봅니다. 봉산면 이 마을이 '창녕 조 씨' '영일 정 씨' 집성촌이거든요. 본디 이집을 황산댁이라고 했다네요. 작곡가 나화랑 선생뿐 아니라, 작사가 고려성 선생의 생가이기도 합니다. 작사가 고려성! 본명은 '조경환'입니다. 고려성 선생은 나화랑 선생의 형입니다. 고려성 선생은 , , , 등이 있답니다. 형.. 2021. 9. 29.
[김천 신리 영천 이씨 정려각과 절의천(우물)] 자기 가슴을 은장도로 도려낸 열녀 이야기 얼마 앞서 영천 이 씨들의 선조들을 모시는 군위에 있는 를 소개한 적이 있지요. 오늘은 여인 영천 이씨 부인을 소개할까 합니다. 김천시 봉산면 신리 526번지 김천 신리 영천 이씨 정려각이랍니다. 바로 여깁니다. 마을 골목길을 따라 조금만 들어오면 정려각이 있습니다. 숙부인 영천 이씨 정렬부사액비라고 쓴 빗돌이 있습니다. 통정대부를 지낸 영일 정씨 정유한(鄭維翰) 선생의 부인인 영천 이씨 부인의 절개를 기리는 정려각입니다. 정려각 안에는 들어가서 볼 수는 없고 이렇게 담장 너머로만 봅니다. 빨갛게 단청을 칠한 보호각 안에 빗돌이 보입니다. 그리고 보호각 이마에는 1634년 인조 임금이 내려준 정려가 걸려있네요. 정유한의 부인인 영천 이씨 부인은 정유재란 때 시부모를 모시고 마을 뒤에 있는 난함산으로 피신.. 2021. 9. 28.
[김천시 부항면 볼거리] 주평동 돛대(하대리 솟대) 우와! 정말 높다! 김천시 부항면 하대리 524-1 바로 위 사진에 보이는 것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솟대'입니다. 솟대는 예부터 마을에 세워 액막이를 하기도 하고 풍년, 풍어를 기원하는 민간신앙물입니다. 긴 장대 위에 끝에 오리를 조각하여 세운답니다. 그런데 딱 봐도 어마어마하게 높게 세운 솟대입니다. 옆에 있는 건물의 높이와 견줘봐도 못해도 4~5층 높이는 되는 듯합니다. 아마 모르긴 몰라도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솟대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하대리 마을 경로당입니다. 빗돌 앞면에는 사업준공기념 대한투자신탁 임직원의 지원으로 숙원사업완공 1991년 1월 9일이라고 쓰여있습니다. 빗돌 뒷면에는 사업 상수도 및 포장 지원금 일천만 원이라고 썼습니다. 아마도 이 마을에 상수도가 들어오고 길이 포장된 게 19.. 2021. 9. 27.
곡성 제호정 고택과 함허정, 그리고 군지촌정사 전남 곡성군 입면 청계동로 908-4 곡성 제호정 고택입니다. 저기 왼쪽에 보이는 건물이 바로 곡성 함허정입니다. 제호정 고택과 함허정은 둘 다 조선 중종 때 이 마을에서 학당을 하며 인재를 길러내던 제호정 심광형 선생이 지은 정자입니다. 제호정 고택 앞에 하마석(下馬石)이 있네요. 보통은 하마비가 있는데 여긴 하마석입니다. 하마비는 신성하고 경건한 곳이니 지위고하를 가릴 것 없이 말에서 내리라는 빗돌이지요. 주로 향교나 서원 앞에 많이 서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는 하마석이라? 알고 보니, 이 하마석은 지체 높은 분들이 여기 와서 말을 타거나 내릴 때에 대문 앞에다 두고 발돋움을 할 수 있게 한 큰 돌이랍니다. 노둣돌이라고도 한다네요. 여기에 제호정 고택과 그 앞에 함허정, 그리고 또 학당인 군지촌정사까.. 2021. 9. 26.
[영동 신항리 석조여래삼존입상] 마을 들머리를 지키는 수호신 같구나! 충북 영동군 용산면 서신항길 135-8 영동 용산면 신항리에 마을 들머리에 세워진 마을 유래비입니다. 예부터 이 마을을 감싸고 있는 뒷산의 모양이 노루목처럼 생겼다고 해서 부자가 되는 터라고 했답니다. 노루 장(獐) 자를 써서 '장항'마을 또는 '노루목'이라고 했답니다. 그래서 마을 들머리에도 이렇게 신항 1리 노루목 마을이라고 쓴 돌판을 세웠네요. 신항리 마을에는 도라지, 감, 복숭아가 특산물이라고 합니다. 돌로 단을 두 단을 쌓고 그 위에 보호각 안에 있는 석조여래입상을 보러 왔어요. 바로 영동 신항리 석조여래 삼존 입상입니다. 보물 제984호입니다. 아, 그런데 삼존 입상이라고요? 그렇다면 세 분이 새겨져 있다는 말이지요. 아하, 그렇군요. 석불 입상 옆으로 빈집이 하나 있고 그 앞에 굵은 가지를 .. 2021. 9. 25.
반응형